IT2008. 11. 20. 22:35
반응형
다음은 현재 구조를 dir 하위에 옮겨놓으려 하는 명령어입니다.

find ./ -type d -exec cp {} dir/ \;

하지만 디렉토리는 파일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기 때문에 파일도 같이 복사가 됩니다(그리고 위의 저 명령으로는 하위 디렉토리 있는 디렉토리가 복사가 안되던가 그렇습니다).

다음의 명령어로 구조를 똑같이 만들 수 있었습니다.

find ./ -type d -exec mkdir -p dir/{} \;

tree 명령어로 구조를 확인해봅시다. :D

반응형
Posted by Dream Come True
카테고리 없음2008. 10. 18. 10:19
반응형
일렉기타에서 목재가 쓰이는 부분은
body(바디), neck(넥), top(탑), fingerboard(지판) 이렇게 4부분으로 나눠집니다.
네가지네 따라 많이 사용되는 목재가 있습니다.



1. body(바디)의 목재...


- 앨더(Alder)

기 타 바디용으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목재로서, 바디 재료로서의 적당한 비중/무게 그리고 안정적인 음질 특성을 갖은 수종입니다. 오랜 기간 유명 기타 제조업체들이 고정적으로 사용하여 그 특징이 이미 잘 알려져있고, 특히 스트라토형의 바디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음색을 만들어 내는 북미산 수종입니다. 기타 음질로서 풍부하고 따뜻하고 고른 음색 때문에 바디의 재질로 많이 쓰입니다 가장 안정적인 특징과 더불어 페인팅후의 외관적인 느낌, 특히 선버스트등의 칼라에 잘 어울리는 좋은 수종입니다.

- 스웜프 애쉬(Swamp Ash)

흔 히 우리나라 수종 명으로는 물푸레라고 불리는 수종으로서, 비중이 무겁고 딱딱한 Hard Ash와 가볍고 연질인 Swamp Ash로 구분되어집니다. Hard Ash는 고음 역이 강조된 밝은 음색과 서스테인이 좋은 특질이 있으며, Swamp Ash는 중음 역대에서 공명성이 뛰어나며 비음이 낮으면서 음색의 밸런스가 좋은 수종입니다. 현재 고급 기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재료로 어떠한 장르에도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뚜렷한 나무 결과 눈 메로서 순색 처리나 반투명칼라 등에 잘 어울리는 수종입니다.

- 마호가니(Mahogany)

중급 비중의 무게와 촘촘한 눈 메를 갖은 열대수림계의 수종으로서,서스테인이 좋으면서 따뜻한 중음 역이 좋은 특질을 갖은 수종이다.레스폴등 아치탑기타등의 기본 바디 재료로서 고음 역의 탑재료(Hard Maple/ Flamed Maple/ Quilted Maple)와 잘 메치시킬수있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셌넥기타의 넥 재료로서도 많이 사용된다 마호가니는 무엇보다 그 따뜻하면서도 묵직한 톤이 일품입니다.

- 메이플(Maple)

메 이플은 하드메플(Hard Maple)과Soft Maple로 이루어졌는데 바디 재료로는 Hard Maple은 쓰이지 않고 Soft Maple을 사용합니다. Soft Maple은 바디 재료로서 사용되며 하드메이플(Hard Maple) 보단 단단한 소리는 내지 않지만 메이플 특유에 밝은 소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 베이스우드(Basswood)

가벼운 축에 속하며, 따뜻하면서 고운음질특성을 가진 수종입니다. 하드웨어나 픽업의 베리에이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무난한 선택 재료로서, 많은 기타 제작 회사에서 보편적인 모델용으로 사용되며, 불투명 칼라나 반투명 칼라로 마감처리하는것이 어울리는 재료입니다. 일부 기타 회사에서는 넥 재료로도 사용합니다.

- 퍼플러(Popla)

꽃의 모양 때문에 튤립우드라고도 부릅니다. 이 나무는 탄성과 밀도 및 단단함의 조합이 독특하기 때문에 악기 재료로서 장점이 많죠. 공명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PARKER,MUSICMAN GUITARS에서 사용합니다.

- 코리나(Korina)

비교적 무거운 나무로 마호가니와 비슷한 성향에 나무이다.기타용 바디보다는 베이스 바디에 주로 사용됩니다.



2. top(탑)의 목재

바디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화려한 문양으로 된 재료를 접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메이플(Maple)

탑재료로는 주로 하드메이플이 쓰입니다. 주로 네크에 많이 쓰이나 레스폴에 탑재료로도쓰입니다. 매우 밝은 톤을 가지고 있어 마호가니에 중저음을 보완 레스폴 특유에 사운드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 프레임 메이플(Flame Maple)

다 른 말로 타이거 메이플 이라고 부리기도 합니다. 무늬에 퍼진 상태에 따라 등급을 매겨 사용됩니다. 특이한 문양의 나무 결 가지게 된 재료를 일컫는 이름으로서, 같은 메플에 속한 수종입니다. 메이플이 성장하는 중 특별한 기후나 환경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성장기 나무 결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특이한 파도 결이나 동그란 형의 문양을 만들게 된 경우로서, 일반적인 음질이나 특질 적인 면에서는 메플의 내용과 다를 바가 별로 없습니다. 다만, 특이한 변이형으로서 그 수량이 한정이 기기 때문에 시중의 가격이 그 문양의 내용에따라 고가 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목재 관리/ 제품 관리에 그 변칙적인 문양/결에 따른 변형에 주의가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 퀼티드 메플(Quilted Maple)

특이한 문양의 나무 결을 가지게 된 재료를 일컫는 이름으로서, 같은 메플에 속한 수종입니다. 메플이 성장하는 중 특별한 기후나 환경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성장기 나무 결의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특이한 파도 결이나 동그란 형의 문양을 만들게 된 경우로서, 일반적인 음질이나 특질 적인 면에서는 메플의 내용과 다를 바가 별로 없습니다.
다만, 특이한 변이형으로서 그 수량이 한정이 기기 때문에 시중의 가격이 그 문양의 내용에 따라 고가 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목재 관리/ 제품 관리에 그 변칙적인 문양/결에 따른 변형에 주의가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 버드아이 메이플(Bird Eye Maple)

새 의 눈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화려한 나무 무늬로 탑재로와 고급 기타들에 넥크 재료로도사용됩니다. 특이한 문양의 나무 결을 가지게 된 재료를 일컫는 이름으로서, 같은 메플에 속한 수종입니다. 메플이 성장하는 중 특별한 기후나 환경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성장기 나무 결의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특이한 파도 결이나 동그란 형의 문양을 만들게 된 경우로서, 일반적인 음질이나 특질 적인 면에서는 메플의 내용과 다를 바가 별로 없습니다.

- 로즈우드(Rosewood)

고비 중의 딱딱하고 강한 내구성으로, 기타지판(FingerBoard)재로서 많이 사용되는 수종입니다. 하지만 몇몇 기타에서는 네크 전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바디 재료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열대산 수종으로서 브라질/인도 등에서 자라는 수종이다. 지판재로서 고음 역이 강조될 수 있는 메플에 비하여. 중음 역이 강조될 수 재료입니다.

- 월넛(Walnut)

일명 호두나무로 매우 무거운 나무입니다. 하드 메이플과 비슷한 밝은 음색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타보다는 베이스 탑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매우 아름다운ㅋ 색상과 무늬를 가지고 있어 그 무늬와 색상을 살린 오일 피니쉬를 많이 사용합니다.




3. neck(넥)의 목재...


- 메이플(Maple)

가장 널리 쓰이는 네크 재료입니다. 네크 재료로는 하드 메이플을 쓰며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매우 맑고 섬세하며 메이플 특유에 통통 튀는 소리를 내줍니다.

- 마호가니(Mahogany)

중급비중의 무게와 촘촘한 눈메를 가진 열대수림계의 수종으로서,서스테인이 좋으면서 따뜻한 중음역이 좋은 특질을 가진 수종이다.셋넥기타의 넥 재료로서도 많이 사용된다 마호가니는 무엇보다 그 따뜻하면서도 묵직한 톤이 일품입니다.

- 버드아이 메이플(Bird Eye Maple)

새 의 눈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화려한 나무 무늬로 탑재료와 고급 기타들에 넥크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특이한 문양의 나무 결을 가지게 된 재료를 일컫는 이름으로서, 같은 메이플에 속한 수종입니다. 메이플이 성장하는 중 특별한 기후나 환경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성장기 나무 결의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특이한 파도 결이나 동그란 형의 문양을 만들게 된 경우로서, 일반적인 음질이나 특질 적인면에서는 메이플의 내용과 다를 바가 별로 없습니다.

- 프레임 메이플(Flame Maple)

또 다른 말로 타이거 메이플 이라고 부리기도 합니다. 화려한 나무 무늬로 탑재료와 고급 기타들에 넥크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무늬에 퍼진 상태에 따라 등급을 매겨 사용됩니다. 특이한 문양의 나뭇결을 가지게 된 재료를 일컫는 이름으로서, 같은 메이플에 속한 수종입니다. 메이플이 성장하는 중 특별한 기후나 환경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성장기 나무 결의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특이한 파도 결이나 동그란 형의 문양을 만들게 된 경우로서, 일반적인 음질이나 특질 적인 면에서는 메이플의 내용과 다를 바가 별로 없습니다.



4. finger board(지판) 재료

핑거보드(finger board)는 기타에서 사람 손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지판이라고 합니다. 소리뿐만이 아니라 연주자에 느낌까지도 담고 있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에보니(ebony), 메이플(maple), 로즈우드(rosewood)가 많이 쓰입니다


- 로즈우드(Rosewood)

장미 나무로 기타지판(FingerBoard)재로서 많이 사용되는 수종입니다. 열대산 수종으로서 브라질/인도 등에서 자라는 수종이다. 지판재료로서 고음 역이 강조될 수 있는 메플에 비하여 부드럽고 따듯한 소리를 내줍니다.

- 메이플(Maple)

네크와 지판재료로 쓰이는 것은 하드 메이플입니다. 매우 똘망똘망한 소리를 가지고 있으면 메이플 넥일때 사용합니다. 보통 넥과 분리하지 않고 1pc로사용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 에보니(ebony)

핑거보드로 주로 쓰이는 나무입니다. 매우 단단하고 밝고 긴 서스테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올린 핑거보드에 쓰이며 관리를 잘해주어야합니다. 매우 단단해 습도를 잘맞쳐 주지 못하면 나무가 갈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용출처: http://www.musicpark.co.kr/
반응형
Posted by Dream Come True
카테고리 없음2008. 10. 8. 18:30
반응형

국내 커스텀 기타 제작 업체 willows TWIG TMBS 모델이며

바디의 사진 이며 도장 부분에 문제가 있음 

Neck : Maple
Body : alder ( Center joint 2 pic)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치명적인 넥의 마감 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사진은 Handmade bone Nut 라는데 역시 수공으로 하니 정밀도면에서 떨어지나 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ick-Up 부분 역시 허술한 마무리 거기다 더한것은 홈페이지상의 스펙과 틀리다는 점입니다.
일단 내부 스펙은 어떤지 모르지만 모양이 바꿨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사진도 고르지 못한 바디 마무리 입니다.

역시나 아직도 갈길이 멀기만 합니다.

국내에서 전문적으로 커스텀 기타를 제작 한다고 광고 하며 나온거지만 역시나...

소리 부분에 대해서는 이렇다 저렇다 이야기 못하겠습니다.

윌로우에서 알아서 만든것이라 뭐....

이런 저런 이야기는 할 수 없고 그냥 윌로스 소리와 스카이 픽업 소리 입니다.

일단 저런걸 보내줘서 다른것으로 교환 하려 했으나 아무런 대응도 없어 환불 해버렸습니다.

프리버드에서 샀는데 환불도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참고하세요


반응형
Posted by Dream Come True
IT2007. 10. 24. 15:15
반응형
좀 지난 이야기지만 미국에서 18세 소년이 이것을 뚤어 화제가 되었던 이야기다.

dvd drive 를 뜯어 고쳐 복제 game이 돌아가게 하던 것을 넘어서서 linux booting이 되기 시작했다.
단 몇가지 제한사항 이 있다. 그 제한사항은 firmware version이 4548 이전이어야 한다는 것과 위에 언급한 dvd drive를 뜯어 고치는 짓을 해야 한다는것, 그리고 King Kong 이라는 게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직은 저런 제한사항들이 남아 있지만, 짧은 시일 내에 저 한계들이 깨지리라고 보인다. 이미 펌웨어가 뚤린 이상 더이상 밖에서 구경만 하던 철옹성이 아니니 말이다.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king kong이라는 게임에 clean(not encrypted) binary를 실행시키는 구멍이 있었다.
  2. king kong game을 복제하면서 위의 clean binay부분을 loader로 대치 한다.
  3. 저 복제된 king kong을 실행시켜서, loader가 실행되게 한다.
  4. loader는 serial cable 건너편에 있는 linux kernel을 loading한다.


실제로 필요한 firmware version은 4532나 4548이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이전 버젼의 경우 4532로의 updater가 떠돌아 다니니 어렵지 않게 구해서 4532로 update할 수 있다. firmware update하지 않고 버틴 보람이 있다. 내 xbox360은 딱 4532 version이다.
아직은 internal이 많이 밝혀지지 않아서 수정된 dvd drive, kingkong game, 그리고 serial cable까지 필요하니, 나같은 일반인들은 시도해 보기에 이른 듯 하다.
free60 site를 모니터링 하면서 좀더 편한 install 방법이 나올때까지 조금더 기다려야 겠다.
액박 출시일이 2005년 11월쯤이었으니, 거의 1년 반 정도가 걸린 셈이다

이렇게 된이상 더이상 DVD 의 지역 코드는 유명 무실 해질 가능성과 디비롬의 키값 바꾸는 일은 일도 아닌것 같다.

이상


반응형
Posted by Dream Come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