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2014. 3. 27. 23:11
반응형

Dump / Tar 백업 복구

dump는 파일시스템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고 tar는 디렉토리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이해 해야 한다.

dump를 이용한 파일 시스템 백업 / 복구

  • ufsdump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0 - 9

덤프 레벨로 '0'은 완전한 백업이고 '1-9'는 점진적 백업을 말하는 것으로 /etc/dumpdates를 기준으로 점진적 백업을 한다. 

u

/etc/dumpdates를 기록한다.

a file_name

덤프 기록 파일을 작성한다. 어떤 파일들이 덤프되었는지 기록한다.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덤프 파일에 기록한다. (default : /dev/rmt/0) dump_file은 테이프 장치이거나 그외의 표준 출력장치일 수 있다. hostname:device 표기법을 사용하여 원격 시스템에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S

주어진 옵션에 따른 백업 크기 측정, 실제 백업은 하지 않는다. 백업하기전에 얼마나 큰 용량을 가진 장치가 필요한지 알아볼때 유용하다.

w

/etc/dumpdates 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백업되지 않은 /etc/vfstab 내의 ufs파일 시스템을 모두 출력한다.

<Example>  레벨 0으로 dumpdates를 기록하면서 테이프 장치에 /data 파일시스템을 덤프한다.

# ufsdump 0uf /dev/rmt/0 /data

 

  • ufsrestore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i

대화형으로 복구 한다. UNIX 파일 시스템을 보는 것과 유사 하다.

r

전체를 모두 복구 한다.

t

백업 테이블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x

지정된 파일만을 추출하여 복구 한다. 지정되지 않으면 전체 복구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dump_file에서 읽는다 (default : /dev/rmt/0)

a file_name

기록 파일에서 덤프 테이블의 내용을 읽는다.

<Example>  /dev/rmt/0 장치에 있는 덤프 데이터를 현재 위치한 파일 시스템에 복구 한다.

# ufsrestore xf /dev/rmt/0

tar를 이용한 계층 디렉토리의 백업

tar 에는 여러가 지 옵션이 많이 있지만 다음 세가지의 옵션만 사용하여도 된다.

tar [options] [tar_file] [directory]

c : tar_file을 생성한다. tar_file은 파일 이름 일수도 있고 장치명일 수도 있다.
x : tar_file을 복구 한다.
t : tar_file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v : 화면에 작업 과정을 출력을한다.
f : 기록 파일로 다음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백업 Example> 백업 받고 싶은 디랙토리가 /etc 일때

# cd /etc
# tar cvf /dev/rmt/0 ./*                  <-- 테이프 장치로 백업 할때

# tar cvf /home/etc.tar ./*              <--   파일명으로 받을때

<주 의> 여기서 중요한것은 디렉토리 지정을 상대 디렉토리(./*)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tar_file을 복구 할때 자기가 풀고자하는 디렉토리에 할수 있다.

<복구 Example> 복구 하고자 하는 파일이 /etc/named.boot 라면..

1. 우선 /dev/rmt/0 에 /etc/named.boot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 tar tvf /dev/rmt/0

2. 있으면 임시디렉토리를 만들고 그곳에 tar_file을 복구 한후 내용이 맞으면 실제 복구 할곳에 복구 한다.

# cd /tmp
# tar xvf /dev/rmt/0 
# more named.boot
# cp named.boot /etc/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 스크립트 기본  (6) 2014.04.23
리눅스 좀비 서버 windigo 검색 위한 스크립트  (5) 2014.04.02
리눅스 백업 및 리스토어  (3) 2014.03.27
오픈 박스 시작시 자동 실행 스크립트  (3) 2013.11.08
vi advance use key  (4) 2013.11.07
Posted by Dream Come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