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분투에서의 rc.local 활성화
LINUX / FRIDAY, MAY 4TH, 2018
이번에 몇년 쓰던 개인 서버를 한번 깔끔하게 밀고 Ubuntu (Ver. 18.04)를 새로 올리다보니 한가지 벽에 부딪혔다. 새로운 Ubuntu부터는 systemd 기반으로 PID들이 관리가 되서 rc.local이 사라져버렸다. systemd 기반도 나름 편하긴 하다. 몇 번 쓰다보니 패키지들의 Start/Stop 등이 손쉽게 되긴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만든 실행 파일을 부팅시에 꼭 실행하고 싶은 니즈가 있어 rc.local을 살려내는 방법을 만방에서 찾기 시작. 결국 있긴 했다.
- 관리자 권한 획득 – 지속적으로 sudo를 치는 것이 번거로우니 관리자 권한을 얻고 시작한다.
sudo su
- rc.local File 생성 – 없는 파일을 만들어 줘야 한다.
printf ‘%s\n’ ‘#!/bin/bash’ ‘exit 0’ | sudo tee -a /etc/rc.local sudo
- 실행 파일로 만들기
chmod +x /etc/rc.local
- rc-local.service 파일 수정
/lib/systemd/system/rc-local.service
아래 붉은 Font 부분을 추가해준다.
[Unit]
Description=/etc/rc.local Compatibility
Documentation=man:systemd-rc-local-generator(8)
ConditionFileIsExecutable=/etc/rc.local
After=network.target
[Service]
Type=forking
ExecStart=/etc/rc.local start
TimeoutSec=0
RemainAfterExit=yes
GuessMainPID=no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rc-local 활성화
systemctl enable rc-local.service
- 실행
systemctl start rc-local.service
-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rc-local.service
반응형